네트워크
[02] 물리 계층과 데이터
BGK97
2024. 5. 29. 12:24
이더넷
- 현대 유선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
- 유선 LAN(통신매체 : 케이블)을 통해 송수신 할 때, 통신 매체들의 규격, 프레임 형태, 프레임을 주고받는 방법들을 정의한 네트워크 기술
이더넷 표준
- 물리 계층에서는 이더넷 규격 케이블,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프레임의 형식을 따름
- 현재의 이더넷은 국제적으로 IEEE 802.3이라는 이름으로 표준화 되어 있음
통신 매체 표기 형태
- 이더넷 표준 규격에 따른 통신매체 지칭시, 다음과 같은 형태를 따름
1. 전송 속도
- 숫자만 표기시 Mbps, G가 붙으면 Gbps로 얼만큼의 속도를 지원하는 케이블인가를 나타냄
2. BASE
- 베이스 밴드의 약자로, 변조 타입을 의미
- 변조 타입 : 비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매체로 전송하는 방법
- 대부분의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베이스밴드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, 이더넷 통신 매체는 BASE를 일반적으로 사용 하고 있음을 알고있기
3. 추가 특성
- 통신 매체의 특성 명시
- 전송 가능 최대거리나, 물리 계층 인코딩 방식 혹은 비트 신호를 옮길수 있는 전송로 수를 의미하는 레인수가 명시됨
통신 매체 종류
- 표를 보고 외웁시다.
통신 매체 표기형식의 예시
- 10BASE-T 케이블 - 10Mbps 속도를 지원하는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
- 1000BASE-SX 케이블 - 1000Mbps속도를 지원하는 단파장 광섬유 케이블
- 1000BASE-LX 케이블 - 1000Mpbs 속도를 지원하는 장파장 광섬유 케이블
이더넷 프레임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표준 규격 프레임
-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아온 정보에 헤더, 트레일러를 추가하는 캡슐화
- 프레임의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한 뒤 상위 계층으로 올려보내는 역캡슐화
프레임 헤더와 트레일러
- 헤더에는 기본적으로 프리앰블, 수신지, 송신지 MAC 주소, 타입과 길이로 구성
- 페이로드에는 데이터
- 트레일러는 FCS로 구성
프리앰블
-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부분, 8바이트
- 첫 7바이트는 10101010, 마지막 바이트는 10101011으로 수신지가 프리앰블을 인식
- 송수신자간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
수신지 MAC 주소와 송신지 MAC 주소
- MAC주소란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부여되는 6바이트 길이의 주소
- LAN내의 수신지, 송신지를 특정 가능
- 일반적으로 고유하고, 변경되지 않는 주소로 할당
- 반드시는 아님!
- NIC(Network Interface Controller)라는 장치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담당
- 여러개라면? MAC도 여러개일 수 있다!
타입, 길이
- 필드에 명시된 크기가 1500 이하일 경우, 길이를 나타냄
- 1536 이상일 경우, 타입을 나타내는 데 사용
- 1501~1535 구간은 유효하지 않은 구간임
- 타입이란, 어떤 정보를 캡슐화 했는지 나타내는 정보
- 이더 타입이라고도 함
- 상위 계층에서 사용된 프로토콜의 이름이 명시
데이터
-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거나, 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하는 내용
-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와 헤더를 합친 PDU가 이곳에 포함
- 최대 크기는 1500바이트, 최소 46바이트 이상이여야함
- 46바이트 보다 작을 시, 패딩이라는 정보가 내부에 채워짐
데이터의 크기가 46바이트 이상이여야 하는 이유
- 이더넷 프레임의 최소 크기는 64바이트
- 여기서 헤더(14바이트)와 FCS(4바이트)를 제외하면, 46바이트 만큼의 공간이 남음
- 만약 64바이트보다 작은경우,
- 이더넷은 CSMA/CD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) 오류나 충돌 감지를 하기가 어려워 최소 크기를 보장해야함
FCS(Frame Check Sequence)
-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필드
- CRC(Cyclic Redundancy Check), 순환 중복검사라 불리는 오류 검출용 값이 들어감
- 프리앰블 제외 나머지 값을 바탕으로 CRC 계산 후, FCS에 명시
- 수신지는 수신한 프레임에서 프리앰블, FCS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 값을 바탕으로 CRC계산
- FCS필드와 비교 후, 값 불일치시에 오류로 판정
좀더 알아보기 : 토큰링
NIC와 케이블
NIC
- 호스트와 통신 매체를 연결하고 MAC 주소가 부여되는 네트워크 장비
케이블
- NIC에 연결되는 물리 계층의 유선 통신 매체
- 현재는 크기 Twisted Pair Cable, Optical Fiber Cable를 사용
NIC
- 호스트와 유무선 통신 매체를 연결하고 이러한 변환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
NIC의 생김새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, 네트워크 어댑터, LAN 카드, 네트워크 카드... 이더넷 카드 등 다양하게 불림
- 카드라고 불리는 이유는 사진처럼 확장 카드 형태로 따로 연결해서 사용해서!!
- USB, 마더보드(메인 보드) 내장식 등 여러 형태가 존재
NIC의 역할
- 통신매체에 흐르는 신호를 호스트가 이해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변환, 혹은 반대로 호스트가 이해하는 프레임을 통신매체에 흐르는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
- 이런 이유로 NIC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고도 함.
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(Twisted Pair Cable)
- 구리선으로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 매체
- 가장 대중적인 케이블
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의 생김새
- 케이블 본체와, 커넥터로 구성
- 커넥터는 컴퓨터나 인터넷 선을 직접연결할 때 꽂는 부분
- RJ-45라고 부름
- 본체가 구리선이기 때문에, 노이즈에 민감함
- 이것을 방지하기위해 그물모양의 철사나, 포일 등으로 보호함
- 이를 차폐라고 하며 각각을 브레이드 실드, 포일 실드라고 칭함
- 브레이드 실드를 씌우면 STP, 포일 실드를 씌우면 FTP, 아무것도 안씌우면 UTP
케이블 명칭 표기 예시
- XX / YTP
- XX 부분에는 외부를 감싸는 실드 명, Y부분에는 내부를 감싸는 실드 명이 표기됨
- 예시
- S/FTP - 케이블 외부는 브레이드, 내부는 포일
- F/FTP - 케이블 외부와 내부 모드 포일 실드
- SF/FTP - 케이블 외부는 브레이드와 포일 실드를 사용하고, 내부에는 포일실드를 사용
- 케이블 본체에 직접 명시된 경우가 많다!!!! 확인하자
카테고리에 따른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분류
- 카테고리는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성능의 등급을 구분하는 역할
- 높으면 높을 수록, 성능이 좋음
- Cat으로 줄여서 표현
- 표를 보고 알고만 있자.
광섬유 케이블
- 광신호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케이블
-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에 비해, 거리도 길고, 속도도 빠름!
- 대륙 간 네트워크 연결에도 사용
광섬유 케이블의 생김새
-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에 비해 활용되는 커넥터 종류가 다양함
- LC 커넥터, SC커넥터, FC 커넥터, ST커넥터가 있음
- 광섬유 케이블의 내부는 머리카락과 같은 광섬유 형태인데, 중심에는 코어, 그 외부에는 클래딩이 존재
- 코어와 클래딩 간의 빛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해 빛을 코어 내부에 가두는 원리
- 코어가 클래딩보다 굴절률이 크기 때문에 가능한 것
싱글 모드 광섬유 케이블
- 멀티 모드 광섬유 케이블과의 차이점 : 지름
- 싱글모드의 경우 지름이 8~10uM(마이크로 미터) 정도
- 지름이 좁기 때문에, 이동경로가 하나 이상을 갖기 어려움, 신호 손실도 적음
- 때문에, 장거리 전송에 적합
- 장파장의 빛을 사용, 규격으로는 1000BASX-LX, 10GBASE-LR이 있음
멀티 모드 광섬유 케이블
- 지름이 50~62.5uM
- 빛이 여러 경로로 이동 가능
- 신호 손실이 클 수 있기 때문에 장거리 전송에는 부적합
- 비교적 근거리 통신에 사용
- 단파장의 빛을 사용, 규격으로는 1000BASE-SX, 10GBASE-SR이 있음
허브
- 물리계층의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
- 데이터 링크 계층에는 스위치가 있음
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
- 물리 계층 네트워크 장비의 경우, 송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어떠한 조작, 또는 판단을 하지 않음
- 호스트와 통신 매체간의 연결, 통신 매체상의 송수신만 이루어짐
- 반면에 데이터 링크에는 MAC주소 등 주소 개념이 존재
- 송수신지를 특정 가능하며, 주소 바탕으로 송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조작, 판단 가능
허브
- 여러 대의 호스트를 연결하는 장치
- 리피터 허브라고 부름, 이더넷 네트워크의 허브는 이더넷 허브라고 부름
- 허브에는 여러 포트가 존재하며, 각 포트는 호스트와 연결된 통신매체를 연결 가능
허브의 특징
- 오늘날의 인터넷 환경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음
- 가장 큰 특징은 두개인데, 네트워크 개념이 내포되어있어 자주 언급
- 전달받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그대로 다시 내보냄
- 물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이기 때문에, 수신지 특정이 불가
- 따라서 신호를 전달 받게되면 어떠한 조작, 판단 없이 바로 송신지 제외한 모든 포트로 내보냄
- 반 이중 모드로 통신
- 1차선 도로처럼 송수신을 번갈아 가면서 하는 통신 방식
- 각 매체는 송신을 할 때면 수신받는 매체는 송신이 다 되기 전까지 송신 불가
- 전 이중 모드는 송수신 양방향 가능
리피터
- 긴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의 경우, 길이가 길어 질 수록 전기 신호가 감소되거나 왜곡되는 경우가 발생
-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, 전기 신호를 증폭시켜주는데, 이 때 사용되는 장비가 리피터
콜리전 도메인
- 동시에 허브에 신호를 송신하면, 충돌(콜리전)이 발생
- 허브에 호스트가 많을 수록, 충돌 발생이 높아지는데, 이렇게 충돌이 발생가능한 영역을 콜리전 도메인이라 함
- 허브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는 같은 콜리전 도메인에 속함
- 작으면 작을수록 충돌의 발생 가능성 적음
-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CSMA/CD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, 스위치 장비를 사용해야 함
CSMA/CD
- 반이중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충돌을 방지하는 대표적 프로토콜
- MAC 방법의 일종이라고도 부름
- CS는 캐리어 감지를 의미 ( Carrier Sense )
- 현재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중이 있는 것이 있는지 확인
- 사용 여부 검사
- MA는 다중 접근을 의미 ( Mutiple Access )
- 복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접근하려는 상황을 다중접근이라고 함
- 이 때, 충돌이 발생함
- CD는 충돌 검출을 의미 ( Collision Detection )
- 충돌 감지시 전송이 중단
- 다른 이들에게 충돌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Jam Signal을 보냄
- 임의 시간 대기후, 다시 전송
- 요약하자면
- 현재 전송이 가능한지 확인한다
- 다른 호스트가 전송중이지 않으면 메세지를 전송한다
- 만약 충돌이 발생하면 임의 시간 대기 후 재전송한다.
스위치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
- 스위치는 MAC 주소를 학습할 수 있음
- VLAN 구성도 가능
스위치
- 2계층에서 사용하여 L2 스위치라고도 함
- 여러 포트에는 여러 호스트가 연결 가능
- 허브와 다른점은, MAC주소를 학습하여 해당 수신지에만 프레임을 전달 가능하며, 전이중 모드 통신 지원
- 이더넷 구성 시 자주 사용
스위치의 특징
- 해당 포트에 연결된 호스트의 MAC 주소와의 관계를 기억하는 MAC 주소 학습
- 호스트와 MAC주소간의 연관관계를 메모리에 표 형태로 기억하는 MAC 주소테이블
MAC 주소 학습
- 스위치는 플러딩, 포워딩과 필터링, 에이징으로 작동
- 처음에는 네 호스트간의 연관 관계를 모름
- 이후 A에서 프레임 수신 시에, 송신지 MAC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호스트 A의 주소와 포트가 테이블에 저장
- C에게 프레임을 전송하려면, A를 제외 나머지는 모두 모르므로 허브처럼 전부 전송시킴
- 이를 플러딩이라고 한다
- 이 때 응답을 다시 보내면, 이제 C에대한 포트와 주소도 테이블에 기록이 된다.
- 이제 주소 테이블을 통해, 어디로 내보내고 내보내지 않을지 결정하는데, 이를 필터링이라고 한다.
- 프레임이 전송될 포트에 실제로 프레임을 내보내는 것을 포워딩이라고 함
- 만약 주소 테이블에서 등록된 특정 포트에서 일정 시간 동안 프레임을 전송 받지 못했다면, 해당 항목 삭제
- 이를 에이징이라고 함
VLAN
- 가상 랜
- 한대의 물리적인 스위치 내에서, 마치 여러 스위치가 있는 것 처럼, 논리적인 단위로 LAN을 구획 가능
- 이 때, VLAN1과 2가 통신하려면, 데이터 링크가 아닌 상위 계층의 장비가 필요
포트 기반 VLAN
- 스위치의 포트가 VLAN을 결정하는 방식
- 사전에 특정 포트에 VLAN을 할당, 해당 포스트에 호스트를 연결함으로써 VLAN에 포함 가능
- 포트 수가 적으면 문제가 발생...
- VLAN에 다른 스위치 VLAN을 연결하여 확장 가능하나, 포트의 낭비임
VLAN 트렁킹
- 두 대 이상의 VLAN스위치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확장하는 방법
- 스위치 간의 통신을 위한 트렁크 포트에 VLAN스위치를 서로 연결
- 이 때, A에서 건너온 프레임이 B에서는 전달 받은 프레임이 어떤 VLAN에 속하는지 모름
- 어떤 VLAN에 속하는지 식별하기위해 802.1Q라는 확장된 프레임을 사용
- 헤더에 VLAN태그를 추가한 것
MAC 기반 VLAN
- 사전에 설정된 MAC 주소에 따라 VLAN을 결정하는 방식
- 포트가 결정하는 것이 아닌, 송수신 하는 프레임 속의 MAC주소가 호스트가 속할 VLAN을 결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