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설명
문제 출처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340213
문제 설명
당신은 동영상 재생기를 만들고 있습니다. 당신의 동영상 재생기는 10초 전으로 이동, 10초 후로 이동, 오프닝 건너뛰기 3가지 기능을 지원합니다. 각 기능이 수행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10초 전으로 이동: 사용자가 "prev" 명령을 입력할 경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현재 위치에서 10초 전으로 이동합니다. 현재 위치가 10초 미만인 경우 영상의 처음 위치로 이동합니다. 영상의 처음 위치는 0분 0초입니다.
- 10초 후로 이동: 사용자가 "next" 명령을 입력할 경우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현재 위치에서 10초 후로 이동합니다. 동영상의 남은 시간이 10초 미만일 경우 영상의 마지막 위치로 이동합니다. 영상의 마지막 위치는 동영상의 길이와 같습니다.
- 오프닝 건너뛰기: 현재 재생 위치가 오프닝 구간(op_start ≤ 현재 재생 위치 ≤ op_end)인 경우 자동으로 오프닝이 끝나는 위치로 이동합니다.
동영상의 길이를 나타내는 문자열 video_len, 기능이 수행되기 직전의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 pos, 오프닝 시작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열 op_start, 오프닝이 끝나는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열 op_end,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1차원 문자열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때 사용자의 입력이 모두 끝난 후 동영상의 위치를 "mm:ss" 형식으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제한사항
- video_len의 길이 = pos의 길이 = op_start의 길이 = op_end의 길이 = 5
- video_len, pos, op_start, op_end는 "mm:ss" 형식으로 mm분 ss초를 나타냅니다.
- 0 ≤ mm ≤ 59
- 0 ≤ ss ≤ 59
- 분, 초가 한 자리일 경우 0을 붙여 두 자리로 나타냅니다.
- 비디오의 현재 위치 혹은 오프닝이 끝나는 시각이 동영상의 범위 밖인 경우는 주어지지 않습니다.
- 오프닝이 시작하는 시각은 항상 오프닝이 끝나는 시각보다 전입니다.
- 1 ≤ commands의 길이 ≤ 100
- commands의 원소는 "prev" 혹은 "next"입니다.
- "prev"는 10초 전으로 이동하는 명령입니다.
- "next"는 10초 후로 이동하는 명령입니다.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시작 위치 13분 0초에서 10초 후로 이동하면 13분 10초입니다.
- 13분 10초에서 10초 전으로 이동하면 13분 0초입니다.
- 따라서 "13:00"을 return 하면 됩니다.
입출력 예 #2
- 시작 위치 0분 5초에서 10초 전으로 이동합니다. 현재 위치가 10초 미만이기 때문에 0분 0초로 이동합니다.
- 0분 0초에서 10초 후로 이동하면 0분 10초입니다.
- 0분 10초에서 10초 후로 이동하면 0분 20초입니다. 0분 20초는 오프닝 구간이기 때문에 오프닝이 끝나는 위치인 6분 55초로 이동합니다. 따라서 "06:55"를 return 하면 됩니다.
입출력 예 #3
- 시작 위치 4분 5초는 오프닝 구간이기 때문에 오프닝이 끝나는 위치인 4분 7초로 이동합니다. 4분 7초에서 10초 후로 이동하면 4분 17초입니다. 따라서 "04:17"을 return 하면 됩니다.
풀이 방법
- 문자열 자체로 시간을 건드리면 좀 복잡해질 것 같아서, 시간으로 변환해서 풀었다.
- 초기 시작이나 명령이 수행될 때 마다, pos 값을 비교해서 오프닝 끝나는 시간보다 전이라면 끝으로 이동시켜버렸다.
- 초기에 slice를 이용하여 (0,2) (3,5) 구간을 나눠 분리했었는데, 반복되는 코드가 많아 한 function으로 묶어서 처리하였고, slice말고 split을 이용하여 코드 길이를 줄였다!
예외 처리
- 0초 이하로 가거나 동영상 길이를 넘어가는 경우, 다시 초기, 혹은 끝 시간으로 돌려준다.
1차 풀이 코드 - slice 이용
function solution(video_len, pos, op_start, op_end, commands) {
//비디오 재생 시간
let video_time = video_len.slice(0, 2) * 60 + Number(video_len.slice(3, 5));
//현 시점 시간
let pos_time = pos.slice(0, 2) * 60 + Number(pos.slice(3, 5));
//op 시작과 끝 시간
let op_start_time = op_start.slice(0, 2) * 60 + Number(op_start.slice(3, 5));
let op_end_time = op_end.slice(0, 2) * 60 + Number(op_end.slice(3, 5));
//pos 타임이 오프닝 시간 내에 위치한 경우 끝시간으로 이동한다.
if(pos_time <= op_end_time && pos_time >= op_start_time){
pos_time = op_end_time;
}
//명령어를 순회하며, 값을 수행한다.
commands.forEach((value) => {
//10초 뒤 이동
if(value === "next"){
pos_time += 10;
//이때, 비디오 길이를 넘어가면 안됨
if(pos_time > video_time){
pos_time = video_time;
}
}
//10초 전 이동
else if(value === "prev"){
//이때 0보다 작아지면 안됨
pos_time -= 10;
if(pos_time < 0){
pos_time = 0;
}
}
//이때도 pos 타임이 오프닝 시간 내에 위치한 경우 끝시간으로 이동한다.
if(pos_time <= op_end_time && pos_time >= op_start_time){
pos_time = op_end_time;
}
})
//이때의 pos_time은 숫자형식이므로, 리턴할때는, 문자열로 바꿔준다.
let pos_minute = parseInt(pos_time / 60) >= 10 ? parseInt(pos_time / 60) : '0' + parseInt(pos_time / 60);
let pos_second = pos_time % 60 >= 10 ? pos_time % 60 : '0' + pos_time % 60;
return pos_minute + ":" + pos_second;
}
결과
2차 풀이 코드 - split 및 function 분리
function solution(video_len, pos, op_start, op_end, commands) {
//비디오 재생 시간
let video_time = transformNumber(video_len);
//현 시점 시간
let pos_time = transformNumber(pos);
//op 시작과 끝 시간
let op_start_time = transformNumber(op_start);
let op_end_time = transformNumber(op_end);
//오프닝 시간인지 확인
pos_time = checkOpenTime(pos_time, op_start_time, op_end_time);
//명령어를 순회하며, 값을 수행한다.
commands.forEach((value) => {
//10초 뒤 이동
if(value === "next"){
pos_time += 10;
//이때, 비디오 길이를 넘어가면 안됨
if(pos_time > video_time){
pos_time = video_time;
}
}
//10초 전 이동
else if(value === "prev"){
//이때 0보다 작아지면 안됨
pos_time -= 10;
if(pos_time < 0){
pos_time = 0;
}
}
//오프닝 시간인지 확인
pos_time = checkOpenTime(pos_time, op_start_time, op_end_time);
})
return formatTime(pos_time);
}
function transformNumber(num){
const [min, sec] = num.split(":");
return Number(min * 60) + Number(sec);
}
function checkOpenTime(num, com1, com2){
if(num <= com2 && num >= com1){
return com2;
}
else{
return num;
}
}
function formatTime(time){
const min = Math.floor(time / 60) + "";
const sec = (time % 60) + "";
//시간 포맷해서 hh:mm 식으로 보내기
return `${min.padStart(2, "0")}:${sec.padStart(2, "0")}`;
}
결과
회고
- 시간도 줄은 것 같은데 서버 딜레이 때문인건지, split이나 padStart를 이용해서 줄은건지 모르겠다.
- 자바스크립트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려면, 각종 함수를 좀 많이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.. 기초공부 필요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올바른 괄호 - JavaScript (0) | 2025.01.09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최댓값과 최솟값 - JavaScript (0) | 2025.01.09 |
[프로그래머스] 기사단원의 무기, JavaScript (0) | 2025.01.06 |
[프로그래머스] 캐시, JavaScript (0) | 2025.01.06 |
[20125_쿠키의 신체 측정], Java (3) | 2025.01.03 |